본문 바로가기
〃일상이야기/생활

한미 통화스와프로 한숨돌렸지만, "달러상승 압력은 불가피"

by MIKROKOSMOS 2020. 3. 20.
728x90

19일 한국과 미국이 600억 달러(한화 75조 5580억 원) 규모의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며 금융시장 불안 심리는 다소 누그러질 것으로 관측된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체결한 한미 통화스와프(300억 달러)의 2배 규모인 데다 기존 4092억 달러 규모의 외화보유고를 고려하면 '안전판'은 충분히 확보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그러나 근본 원인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한 직접적 해결책이 아닌 데다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 쏠림 현상이 지속하고 있어 향후 상황을 낙관하기만은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 달러화 공급 서두르는 한은

한국 통화스와프 체결 현황.

통화스와프란 두 나라가 현재의 환율에 따라 필요한 만큼 돈을 교환하고,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최초 계약 때 정한 환율로 원금을 다시 교환하는 제도다. 한미 간 통화스와프는 한국의 원화를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 이사회에 맡기고 그만큼의 달러화를 가져오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외화보유액이 늘어나는 효과가 생긴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20일 “코로나19 확산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 안전 자산인 달러화 수요가 급증했고, 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달러화 부족에 따른 환율 상승 등 부작용이 일어났다”며 “미국 역시 기축통화국으로서 달러화 부족을 완화해야겠다는 판단이 있었다”고 통화 스와프 체결 배경에 관해 설명했다. 미국은 이날 한국을 비롯한 호주·브라질 등 9개국과 통화 스와프를 맺었다.
 
한은은 달러화 공급을 최대한 서두른다는 방침이다. 통화 스와프가 체결되기 직전인 19일 원·달러 환율은 1280원을 기록했고, 장중 한때 1296원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이는 금융위기 여파가 남아있던 2009년 7월 14일(1293원) 이후 최고치다. 이 총재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와 한은이 계약 체결에 합의함에 따라 계약서 작성에 들어갈 것”이라며 “계약서가 작성되면 곧바로 달러화를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환율 30원 이상 하락…“외화 보유 충분”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0일 기자들과 만나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의 배경과 의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은행.

일단 시장의 반응은 긍정적이다. 통화 스와프 체결 소식에 환율은 20일 종가 기준 1246.5원을 기록했다. 전날보다 39.2원 떨어져 전날 폭등분(40원)을 거의 상쇄했다. 2008년 10월 한미 통화스와프가 체결됐을 당시에도 환율은 하루 만에 사상 최대폭인 달러당 177원이 떨어진 바 있다. 
 
오창섭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중앙은행의 외환시장 개입 의지가 투자 심리를 안정시키는 부분이 크다”며 “대외 건전성 측면에서 보면 한국의 자체 보유 외환은 4092억 달러로 단기 부채를 넘기 때문에 펀더멘털 자체는 나쁘지 않다고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 미국 등 8개국과 맺은 통화 스와프 1928억 달러까지 합하면 한국의 외환 보유고는 6024억 달러(747조 5784억 원)까지 늘어난다. 
 
이주열 총재 역시 “현재 외화보유액은 대체로 적정한 수준”이라며 일각에서 나오는 은행자본확충펀드(은행의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을 높이도록 지원함으로써 자본 여력을 확충하도록 하는 것) 필요성에 대해서도 “현재 은행 자본 상황은 양호하기 때문에 거기까지 갈 상황은 아니다”고 밝혔다.


∨ 실물·금융 복합 위기, “달러 상승 압력 지속할 것“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취임 이후 첫 위기를 맞아 한국 등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었다. 블룸버그.

그러나 코로나19로 실물경기가 얼어붙은 데다 유가가 폭락하며 미국 금융시장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어 불안감은 여전하다.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외환 시장 안정화에 통화 스와프 역할이 결정적이었다”면서도 “그러나 현재 대면 소비가 어렵고 인적·물적 교류가 제한되는 등 실물·금융위기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2008년보다 상황이 어렵다.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유가 폭락으로 미국 셰일 기업을 중심으로 신용 리스크(기업의 경영상태 악화로 채무 불이행이 발생해 금융회사의 현금이 회수되지 않는 것)가 고조되는 등 위기 상황에서 달러 쏠림 현상은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김유미 키움증권 투자전략팀 연구원은 “미국의 경우 상당 기간 지속한 저금리로 투기 등급 기업의 회사채가 누적된 상황”이라며 “연준이 기업어음(CP) 매입을 결정했지만, 에너지 분야 중심으로 디폴트 우려가 지속하고 있기 때문에 미정부의 구체적 대안이 있기 전까지 달러화 상승 압력은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이주열 총재는 통화 스와프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스와프 계약은 달러화 부족에 따른 시장 불안 심리를 잠재우는 게 일차적인 목적”이라며 “금융위기로 가는 것은 또 다른 상황이고, (그런 상황이 오면) 연준은 또 다른 방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일보 경제면 참조하였습니다.

728x90

댓글